"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상큼한 새아침 :: 일만시간의 진짜의미는 무엇일까요 ?
반응형

언제부턴가 일만시간에 대한 이야기가 이슈로 떠으로면서 우리 주변에서 흔히 한가지 일에 일만시간을 집중하면 안되는게 없는것 처럼 이야기 되고 있는데요. 그러다가 사람 죽이는 일이 발생할 수 도 있다는 이야기들이 반론으로 제기되기도 하구....

도데체 일만시간의 법칙이 만들어진 지짜 이유가 무엇인지 저는 무척 궁금해서 찾아 봤습니다.

 

흔히 한류의 열풍이 거세게 몰아치던때 일만시간동안 죽도록 연습해서 아이돌이 탄생하고, 일만시간 한가지 일에 몰두 해서 성공 했다는 성공 스토리들을 우리 일반적인 사람들의 기를 죽이는 일이 많이 있었는데요 . 그 진짜 이유가 저는 무척 궁금해서 찾아 봤는데 인원석씨라는 분이 기고한 내용을 보고 그럴수도 있겠다 싶어 발취를 해 보았습니다.

물론 한사람이 쓴 글이기는 하지만 읽어 보면서 공감이 가는 부분이 있기도 하고, 어떤면에서는 너무 극단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도 있기도 합니다.

 

어찌 했든 1만시간의 법칙에 대한 맹목적인 훈육의 재료로 쓰는 소위 어른들의 시각도 좀 바꿔 봐야 한다는 이 새아침의 눈으로 본 시각 입니다.

 

 

이제 그 일만시간의 법칙이 말하는 진짜 이유를 알아 보겠습니다.

 

아래글은 이원석씨의 글을 그대로 필사 하였습니다.

 

1. 말콤 글래드웰이 강조한 건 환경과 전통이다.

 

성공을 위해 노력이 미치는 영향은 재능에 비해 형편없이 떨어진다.  애초 '1만시간의 법칙"은 마술적 성공 공식으로 제시된것이 아니었다. 1990년대 초반 1만시간의 법칙에 관한 책을 읽을때 그 전제 조건으로 서의 재능에 대한 서술이 병기되어 있었던것을 기억 한다.

심리학자들 에게는 처음부터 이러한 균형 잡힌 인식이 있었다. 일만시간의 법칙을 대중들에게 알리는데에 기폭제가 된 "아웃라이어"의 작가 말콤 글래드 웰 또한 이에 대해 모르지 않았던것 으로 보인다. 허나 그의 주장은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다.

"아웃라이어"는 일만시간의 법칙을 마술적으로 강조하기는 커녕 핵심내용조차도 다루지 않았다. 그가 정말로 강조 하는것은 환경과 전통이다. 그러나 대중과 언론은 이러한 측면을 간과 하고 특정 부분만 자기 입맛에 맞게 비틀어서 읽고 있다.

나 자신은 여전히 말콤글래드 웨에게 비판적이나, 그래도 이만한 자기 개발 작가도 드믈다. 특히 개인은 구조의 산물이라는 점을 그만큼 강조한 자기개발 작가는 거의 없다. 그 만큼 이 시장이 형편이 없다는 뜻 이기도 하다. 좋은 작가를 찾기는 어렵다.

 

2. 자기 재능에 대해 이해 없는 노력은 시간 낭비다.

헛된 마음을 버리고 일만시간의 법칙을 본다면 , 어디까지나 재능의 만개를 위한 노력의 기준(임계점)일 따름이다. 재능이라는 발판 없이 성공을 향해 도약할 수는 없는것이다. 이번 연구는 기존 논문(연구)들을 종합했다는 것이 그 의의가 있다. 그 만큼 진실에 더 가깝다는 의미가 되겠다.

나의 지인과 폐친들, 또한 독자 및 청중의 상당수 는 (재능과 노력에 대한) 내 지론을 알고 계실거다.

 

1) 노력은 재능을 이기지 못한다.

 

2) 노력의 지속과 몰입의 즐거움은 재능있는 이들의 몫이다.

 

3) (특정영역에서의 )경쟁은 이들 재능있는 이들끼리 하는것 이다.

 

나는 이것을 계속 강조 해 왔다. 한동안 CBS방송국에서 "이원석과 함께 읽는 자기개발서"코너를 담당 하면서 매회 분명히 강조한 바 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자기를 알아야 한다. 애초에 자기이해(재능)없는 자기개발(노력과 태도)은 밑빠진 독에 물 붓는것 과 비슷하다.

 

3. 일만시간의 법칙이 지짜로 의미하는 것

이제 일만시간의 법칙과 더불어 성공에 관해 몇마디를 덧붙이고 싶다. 앞서 했던 말들과 일부 겹치겠지만 양해 바란다.

 

1)일만시간의 법칙은 재능있는자들을 위한 것이다.

조수미를 생각해 보자. 그녀는 래슨전에 잠깐 연습해도 충분히 좋은 결과를 냈다. 그 사실을 알게된 ㄱ수의 엄한 질책과 함께 그녀는 해외로 가서 본격적으로 연마하게 된다. 일만시간의 법칙은 그때 필요한 것이다.

 

2) 일만시간이라는 수량은 기계적으로 맹신해서는 안된다.

요는 재능의 발현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다. 일만시간의 법칙의 본질은 집중(몰입)과 반복과 임계점이다. 원칙적으로는 일만시간을 온전히 집중해야 하지만 하루 서너시간도 버겁다. 만개하기까지 끝없이 반복되고 지속 되어야 한다.

 

3) 일만시간의 법칙이 세속적 성공을 보장 하지는 않는다.

약속하는것은 재능의 만개까지 일 뿐이다. 모두가 다 알듯 재능이 있다고 당연히 부와 명예를 얻는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재능을 가진 이가 노력 했다고 반드시 부와 명에를 얻는것도 아니다. 정상적인 사회라면 그걸로 생존을 넘어서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지만 한국의 경우 재능이 있어도 아사할 수가 있다. 재능과 더불어 환경을 잘 만나야 한다. 운동도, 학업도, 애술도 모두 매 한가지다. 이 불편한 진실에서 눈을 돌려 자기개발서를 읽기 보다 이 현실을 바꾸기 위해 정치에 눈을 떠야 한다. 투표만으로는 부족하다. 자기 목소리를 분명하게 내고, 구체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4) 개인적으로 흥미가 있더라도 재능없는 영역에 투신하거나 경쟁하지 않기를 바란다.

경쟁의 최소 전제는 재능이고 여기에 노력을 더해질 때 진정한 경쟁이 가능하다. 재능있는 이들만큼 지속적으로 훈련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어렵다. 같은 시간 노력해도 효율이 다르다.  

 

 

노력하는자가 자기 재능있는자를 이긴다는 헛소리의 전제는 재능있는자가 노력하지 않고 자기 재능만을 의지할 때다. 남이 포기하거나 혹은 충분하다고 여기는 지점에서 재능있는 이들은 더 나간다. 능력 없는 이들이 한 걸음 나갈 때 재능있는이들은 두세 걸음, 혹은 그 이상 앞서가게 마련이다. 노력으로 재능을 이길거라는 꿈은 깨라 !

 

 

블로그 이미지

새 아침

새아침의 눈으로보는 세상이야기, 건강에관한 이야기, 잘 사는 경제이야기로 꾸며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