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아침 연합뉴스에는 이런게 올라와 있어서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탕진잼' '짠테크"라는 키워드가 급상승하고 있다면서 양극화 사회에 공존하는 소비패턴이 재태크 관점에도 엇갈리고있다는 다음소프트 분석을 토대로한 가사 내용인데 원본 그대로 일단 한번 보시고 생각해 보기로 하지요.
연합뉴스 내용입니다.
한 달에 자유적금 80만원. 슈퍼그레잇(Great)~ , 신혼여행에서 산 친구 선물? 스튜핏(stupid)
팟캐스트 내 인기에 힘입어 최근 공중파에서 방송을 시작한 예능 프로그램 '김생민의 영수증'에서 개그맨 김생민(44)이 가장 많이 외치는 단어는 '스튜핏'과 '그레잇'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김생민은 사연 신청자의 카드 영수증 내역을 직접 분석해 주고 불필요한 소비는 '스튜핏'으로 , 합리적인 소비는 '그레잇'으로 명명하며 이들의 지출 패턴에 냉정한 평가를 내린다.
김생민의 평가에 시청자들은 자신의 카드 명세서가 공개된 것처럼 공감하고, 인터넷에서는 김생민의 '짠돌이'어록을 정리한 게시글도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까지만 해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가진 돈을 다 써 버린다는 의미인 '탕진잼', 홧김에 충동적으로 쓰는 돈을 뜻하는 '시발비용' 트랜드가 주목을 받던 상황과는 크게 달라진 모습이다.
9월 10일 인공지능 (AI)기반 빅데이터 분석업체 다음소프트가 분석한 '짠테크' 빅데이터 자료를 보면 올해 6월부터 방송을 시작한 '김생민의 영수증'의 블로그, 트위터, 뉴스 언급량은 6월 3건에 불과 했지만 7월554건, 8월3천970건, 9월 1만7천803건으ㅡ로 늘었다.
김생민의 유행어인 '스튜핏'은 6월 언급량이 1천 14건에서 9월 언그량이 1만6천283건으로 급증했고 '그레잇'은 같은 기간 13건에서 3만3천886건으로 폭증했다.
'짠돌이'와 '재태크'의 합성어인 '짠테크' 언급량도 같은 기간 263건에서 550건으로 꾸준히 늘었다.
이와는 달리 현재의 행복을 위해 아낌없이 돈을 쓰는 욜로(YOLO : You live only once)트랜드를 쫏는 '탕진잼, '시발비용' 언급량은 하반기에 들어서며 증가세가 꺽였다.
'탕진잼'은 1월 언급량 694건에서 2월1천757건으로 늘었으나 이후 언급량이 꾸준히 줄어 8월 505건에 그쳤다.
'시발비용'은 1월 언급량이 6천442건에서 6월 1만3천353건까지 증가 했지만 8월에는 3천255건으로 급감했다.
극단적인 소비 트랜드가 주목 받는 것은 한국사회의 중산층 이데올로기와 중산층의 삶도 꿈꿀 수 없는 젊은층의 무력감이 공존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문화평론가인 이택광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김생민의 영수증은 중산층의 사고방식'이라며 "사연 신청자는 어느정도 수입이 있지만 과거와 달이 각종 투자를 통해 고수익을 올리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개인간 긴축정책'을 통해 노후 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는 사람들"이라고 분석 했다.
이 교수는 이와는 달리 탕진잼과 같은 소비 경향을 중산층이 되고 싶다는 꿈을 꾸지만, 고정적 수입도 노후 대책도 없어 이를 실현할 수 없는 사람들이 열광할 수 밖에 없다"며 사회 양극화가 뚜렷한 상황에서 수익창출과 소비를 바라보는 시선도 엇갈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 까지가 연합뉴스의 분석 소식이었고요 . 이에 대한 댓글은 몇개 없었는데 두어개만 발췌하면
viol... : 김생민의 영수증이 전형적인 중산층의 사고 방식이라니.... 난 이제까지 살면서 중산층에 중 근처에도 가보지 못했지만 영수증 들으면서 많이 공감하고 노력하려 하는데..
sim b... :짠테크는 최근에 들어본것 같은데... 탕진잼 시발비용은 처음 듣네 기발하긴 하네..
이런 정도로 반응을 보이고 있네요 .
우리 유명하신 교수님들의 분석이 맞긴 하겠는데. 형이 상학적인 분석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현실은 미래의 노후 대비를 위해서 매일 매일 생각하면서 살며, 소득계층의 불평등을 매일매일 생각하면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되며, 과거나 지금이나 투자에서 고수익을 기대는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다 아는 사실인데 그걸 갖다 붙이는 시각은 과연 현실적인 분석일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역시 대학은 돈을 버는 방법을 일러 주지 않는곳이 맞는가 봅니다.
어제가 한글날 이었는데 이상한 외국언어를 우리글로 만든 김생민도 좀 문제가 있긴 하다는 생각이 들기두 하고...
무슨 말 장난 같다는 생각도 들지만 재미로 옮겨 보았네요.
'새아침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넛지 이론과 행동 경제학 그리고 노벨 경제학상 (0) | 2017.10.18 |
---|---|
2018년도 바뀌는 세금이 너무너무 궁금하당 (0) | 2017.10.13 |
제로에너지 임대형 단독주택을 아시나요 (0) | 2017.09.29 |
청약 가점제등 개선한 주택공급규칙 개정 (0) | 2017.09.20 |
잇단 부동산 대책으로 집값이 떨어질것으로 예상되어 내집대신 전세로 (0) | 2017.09.18 |